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론 서바이버, 파슈툰왈리와 레드윙 작전

by 무엇이든 읽음 2021. 7. 14.
반응형

론 서바이버 포스터

Lone Survivor, 단 한 명의 생존자를 구해내기 위한 작전

이 영화는 실제 2005년에 네이비씰의 작전을 바탕으로 한다. 이 작전은 네이비 씰의 역사상 2번째로 큰 사상자가 발생한 작전이다. 탈레반의 지도자를 제거하는 임무를 받은 SEAL10팀의 4명은 현지 탐색 작전을 떠난다. 잠복해 있는 곳에 염소를 방목하러 온 목동에게 위치를 발각당하고, 이 사람을 제거할지, 풀어줄지 갈등하다가 풀어주기로 결정한다. 결국 풀려난 목동 때문에 탈레반의 공격을 받게 되고, 한 명의 lone survivor를 제외한 나머지 대원들은 희생당한다. 생존한 마커스는 민간인인 굴랍의 도움으로 생존하게 되고, 본부에 연락이 닿아 구출된다. 화려한 액션이나 연출 없이, 전쟁의 끝단에서 병사들의 싸움을 처절하게 현실적으로 그려낸다. 절벽에서 떨어지는 병사의 몸이 '털썩' 바닥에 부딪히는 것을 보여 주는 식이다. 그래서 더 처절하다.

양치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 올은 것일까?

네이비씰의 교전규칙에 따르면, 민간인을 희생시킬 수 없다. 이런 교전규칙에 따라 목동을 결국 희생시키지 않고 풀어준 네이비씰은 대가를 치르게 된다. 목동을 체포한 상태에서 대원들끼리 토론을 벌인다. 풀어주는 것이 맞다, 작전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보안이 생명인데, 우리의 존재를 알게 된 목동을 풀어주는 것은 자살행위다, 나무에 묶어두고 가자, 그러면 결국 죽게 되니 민간인을 죽이는 것이다. 어떤 논리를 펴더라도 반대의 논리가 성립하고, 논쟁의 여지는 충분하다. 결과론적으로는 풀어주는 바람에 씰 대원 3명이 희생되고, 1명 남은 대원을 구하러 더 많은 대원들이 희생된다. 그렇다면 목동을 죽이는 것이 맞았나? 미군의 관점에서는 그렇지만, 그는 단지 그 시간에 그곳에 우연히 있게 된 민간인이었다. 또 그는 어쨌거나 자신의 나라, 자신의 구역이 미군 특수부대에게 침입당한 사람이었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공리주의와 정의의 관점의 예시로 나오는 열차 선로 위에 있는 사람 한 명을 구하기 위해서 열차의 많은 승객들을 희생시키는가, 반대로 많은 승객을 구하기 위해서 한 명을 희생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와 비슷한 구조다. 다른 점은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독자들이 결정하는 문제는 현실에 영향을 안 주지만, 론 서바이버에서 씰 대원들의 결정은 수많은 희생자들을 만든 실제 작전이라는 점이다. 

파슈툰족의 생활

파슈툰왈리, 파쉬툰족의 길

파슈툰왈리 혹은 파쉬툰왈리는 적에게 쫓겨 위험에 처한 사람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지켜내고 보호해야 한다는 파쉬툰 족의 명예 율법이다. 명문화되어 법, 규칙으로 쓰여있는 것이 아닌, 전통 생활양식의 윤리 강영이다. 파슈툰 족은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구성하고 있는 종족이고, 상대적으로 천대(?) 받는 마이너 종족으로 하자라 족이 있다. 파쉬툰 족은 상대적으로 서구형의 이목구비, 하자라 족은 동양인 특히 한국인의 외모를 보인다. 아프가니스탄의 메이저 종족이 파쉬툰이기 때문에 그 외 비 파슈툰족 계의 아프가니스탄 인들과 파키스탄 사람들도 파슈툰왈리를 따른다. 이 파슈툰왈리의 주요 원칙으로는 환영, 보호, 용맹과 공정, 여성의 보호와 명예 등이 있으며, 이 중 보호의 원칙이 '론 서바이버' 영화에서 모하마드 글리드라는 아프간인이 자신의 목숨을 걸어가면서 마커스를 구해내는 것이다. 아프가니스탄의 파슈툰족들도 탈레반에 억압받고 착취당하는 삶을 살고 있다는 글들을 이 리뷰를 쓰면서 찾아보게 되었다. 만약 목동이 미군 씰을 자신들의 삶을 탈레반의 마수에서 구해줄 해방군으로 생각했다면, 혹은 미군이 아프간과 전쟁을 벌일 때 더 확실한 명분을 보여줄 수 있었다면 이들이 침투한 시골마을의 목동은 미군 씰 부대를 탈레반에게 신고하지 않았을까? 어떻게 억지로 끼워 맞추면, 자신의 땅에 침투해 있는 씰들도 환영, 보호해야 하는 존재가 아닌가 싶은 생각도 든다. 물론 그들은 적에게 쫓기는 그런 사람들은 아니었지만. 우리의 전래동화에서도 사냥꾼에게 쫓기는 사슴을 보호해주는 나무꾼이 있으니 '조선의 길' 같은 그런 말도 있지 않을까? 긍휼과 같은 콘셉트가 될 수 있을까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