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데들리 일루전, 죽을 정도의 치명적인 환상

by 무엇이든 읽음 2021. 7. 30.
반응형

사람 하나 잘못 들이면 집안이 박살 난다

베스트셀러 작가 메리는 신작 소설을 쓰는데 집중하기 위해서 아이들을 케어하고 집안일을 도와줄 수 있는 보모를 집에 들인다. 아이들을 잘 ㅂ돌봐 주고, 집안일도 곧 잘하고, 외모도 훌륭하고 젊은 그레이스에게 메리는 아주 만족하고 점점 가까워진다. 단지 보모의 역할을 넘어서서 함께 피크닉을 가서 책도 읽고, 와인도 마시고, 서로의 고민을 이야기하고, 깊은 이야기도 함께 나눈다. 그러다가 갑자기 메리와 키스를 나누고 스킨십 진도를 나간다. 그러던 중 그레이스는 메리의 남편까지 유혹한다. 메리는 인기 작가로서 후속작을 펴내야 하는 압박감 속에서, 독단으로 투자했다가 실패한 남편을 원망하면서 아이들 육아까지 하면서 자신감과 자아를 잃어간다. 이런 중에 메리의 친구이자 정신과 주치의가 살해되면서 자신이 용의자로 지목되면서 그레이스가 자신에게 누명을 씌운 것이라는 의심을 시작한다. 그레이스의 과거는 어린 시절의 학대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해리성 인격장애를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메리는 그레이스의 정신병을 알게 되고, 그녀가 남편을 죽이려 하는 현장에서 그레이스를 막아낸다. 그레이스는 정신병원으로 격리되고 영화는 끝난다. 여기서 정말 끝났다면 영화의 평이 그렇게 엉망은 아니었을 텐데, 마지막 장면에서 반전을 한 번 더 노린 감독은 무리수를 띄운다. CCTV의 범인의 모습이 진짜 메리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메리도 역시 해리성 인격 장애로 나쁜 인격과 정상인 인격이 다 있는 사람이었다는 식으로 마친다. 아마 해외의 관람객들은 이런 결말에 혼란을 일으키며 평점을 나쁘게 준 것 같다.

해리성 인격 장애, 누구에게나 어느 정도.. 현대인의 무서운 질병

해리성 장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다. 충격적인 정신적 스트레스나 신체적인 고통을 경험하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실에서 너무나 고통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면 정신은 그 고통을 일으키는 경험과 인격을 분리해내서 내면을 억압하는 방식으로 스스로를 방어한다. 일종의 방어기제이다. 하지만 이런 방어기제를 사람은 인식하지 못하고, 때문에 주변의 사람들 역시 변화를 알지 못한다. 고통스러운 일을 피하고, 불안한 사건에서 스스로를 격리해내는 행동이 반복되면서 강화된다.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의 성적학대가 정신적 외상의 가장 흔한 사례였고, 신체적인 학대나 가족의 죽음을 경험하는 것도 원인이 되었다. 세부적인 종류로는 해리성 둔주, 해리성 인격 정체감 장애, 해리성 기억상실, 이인성 장애 등이 있다. '해리성 둔주'는 특정 기간 동안의 기억을 상실하고 새로운 인격과 정체성으로 생활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나 상실된 기억이 다시 생각이 나는 경우, 원래의 기억을 잃고 지냈던 기간의 기억은 사라져 버린다. '해리성 인격 정체감 장애'는 '다중이'라고 불렸던 캐릭터의 모습처럼 다중인격을 말한다. 많은 영화들의 소재가 되기도 했는데, 여러 인격이 한 사람 안에 들어가 있고, 그들 간의 주도권이 번갈아가면서 나타난다. 서로는 서로의 인격을 부정하기도 하고, 존재를 알고 있기도 한다. 보통은 2-3명의 메인 인격이 있고, 많은 경우 8-9명의 부수적인 인격이 함께 있기도 한다. '해리성 기억상실'은 기억을 회상해내는 능력 자체에는 손상이 없으나 과거의 개인적인 경험과 정보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갑작스럽게 나타난 증상은 갑자기 사라지기도 한다. '이인성 장애'는 내가 내가 아닌 것처럼 느껴지는 증상으로 다른 사람의 몸에 내가 들어가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혹은 내가 생활하는 익숙한 공간이 갑자기 낯선 곳으로 바뀌었다는 비현실감을 느끼기도 한다.

알고 보니 둘 다...그랬다

주인공들에게 나타난 해리성 장애의 원인은 스트레스와 학대

그레이스는 어린 시절의 학대로 인해 사람들을 증오하는 인격과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싶어 하는 인격을 갖고 있는 사람이었다. 나쁜 인격이 그레이스일 때 정신과 의사 친구를 살해하고, 메리에게 죄를 덮어 씌우는 작업을 한 것이었다. 베스트셀러 작가 메리의 경우에는 남편이 투자 실패를 한 데서 온 스트레스, 아이들을 돌보면서 동시에 후속 작품을 써내야 하는 극심한 스트레스로 그녀의 해리성 장애의 원인이 아니었을까. 극 중 주인공들은 모두 극단적인 사례를 갖고 있었다. 우리가 사회생활을 할 때도 일상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끼기도 한다. 게다가 코로나 블루 때문에 모두가 높은 스트레스 레벨을 이미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일상에서 조금씩의 스트레스만 더해져도 심한 증상을 보일 수도 있다.

반응형

댓글